운동
-
데드리프트와 힘의 전달운동 2022. 2. 27. 15:45
헬스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운동 순위권에 항상 꼽히는 데드리프트. 전신 운동으로 근육 간 협응력을 키워주기도 하고 무엇보다 맛있기 때문이 아닐까? 들릴랑 말랑 하다가 겨우겨우 들어냈을 때의 그 쾌감은 데드만한 게 없다. 나도 요즘은 운동을 자주 하진 못해서 혼자 할 땐 안전을 위해 아주 고중량을 치진 않지만 예전에 피티쌤의 도움으로 1rm을 잴 때는 정말 재밌긴 했다. 데드리프트의 기본적인 자세는 워낙 자료가 많아서 굳이 여기에 정리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척추 중립 상태로 힙힌지 하기, 바를 몸에 붙이기 등 여러가지를 신경쓰면서 해야 하는 어려운 운동이다. 이 글에서는 데드리프트에서 힘이 전달되는 원리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왜 척추 중립이어야 하는가? 데드리프트를 하며 물체를 드는 자세는 마치 크레..
-
[신체] 견갑골 불균형 체형운동 2021. 6. 13. 02:54
지난 포스트에서 보았듯이 견갑골은 6가지 형태(거상/하강, 전인/후인, 상방회전/하방회전)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각 세 쌍의 움직임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의 두 움직임(ex. 전인-후인)이 균형있게 이루어지지 않고, 한 쪽으로 굳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어깨를 움츠린 상태로 오래 일하다 보면, 견갑이 거상된 상태가 지속되게 된다. 그러면 자연스레 견갑의 거상에 관여하는 근육은 짧아지고, 하강에 관여하는 근육들은 길어진다. 당연하게도 이러한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짧아진 견갑 거상 근육들 (상부 승모근, 견갑거근 등)은 스트레칭을 통해 풀어주고, 늘어진 견갑 하강 근육들은 강화 운동을 해주어야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불균형이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견갑골의 전인과 ..
-
[신체] 견갑골과 주변 근육운동 2021. 6. 4. 00:01
견갑 주변부가 불편해서 마사지볼로 주변을 요리조리 문질러서 풀어줘야 할 때가 많다. 뿐만 아니라, 견갑 주변 근육들의 뭉침/늘어남으로 인해 어깨 불균형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래서 운동하기 직전에도 폼롤러 / 마사지볼로 풀어서 균형을 어느 정도 맞춘 후 운동을 하면 훨씬 밸런스가 좋아진 느낌을 받곤 한다. 그러다 보니 견갑골의 움직임과 주변 근육들에 대해 궁금하여 공부해보게 되었다. 견갑골의 모양 견갑골의 모양은 아래와 같다. 일단은 안쪽모서리, 가쪽모서리, 위각, 아래각 정도만 기억해두자. 견갑골의 움직임 견갑골은 아래와 같은 총 6가지 움직임을 보인다. 거상/하강은 견갑이 위로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 전인/후인은 견갑이 바깥쪽으로 벌어지거나 안쪽으로 모이는 것, 상방회전/하방회전은 견갑이 돌아가는 것..